http
![[Cors] Cors(Cross Origin Resource Sharing) 이란?!](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nKklo%2FbtrRLKZRsb6%2FFd03ccvx9jdEdRpZroq1DK%2Fimg.png)
[Cors] Cors(Cross Origin Resource Sharing) 이란?!
Cors(Cross Origin Resource Sharing) CORS는 교차 출처 요청을 허용하는 것이 안전한지 아닌지를 판별하기 위해 브라우저와 서버가 상호 통신하는 하나의 방법 저는 사실 이전까지 Cors는 교차출처자원을 금지하는 정책으로 알고있었지만 그것이 아닌 교차출처자원공유가 금지된 배경에서 공유를 가능하게 해주는 하나의 규약입니다. 이 배경이라함은 SOP입니다. SOP(Same Origin Poricy) SOP은 한 출처 에서 로드한 문서 또는 스크립트가 다른 출처의 리소스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한하는 중요한 보안 메커니즘입니다. 정책에 따라 웹브라우저 는 첫 번째 웹페이지에 포함된 스크립트가 두 번째 웹페이지의 데이터에 액세스하도록 허용하지만 두 웹페이지의 출처 가 동일한 경..
![[HTTP] HTTP 기초](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itKP0%2FbtrRoQLqYkU%2Fg6Z8tAVnF4vPrTPbzr12Pk%2Fimg.png)
[HTTP] HTTP 기초
서버간 데이터를 주고받는 프로토콜의 한 종류 HTML, Text, Image, 음성, 영상, 파일, JSON, XML(API) 거의 모든 데이터가 전송 가능 HTTP의 역사 0.9(1991년): GET 메서드만 지원, HTTP 헤더X 1.0(1996년): 메서드, 헤더 추가 1.1(1997년): 가장 많이 사용 - RFC2068(1997) -> RFC(1999) -> RFC7230~7235(2014) 2(2015년): 성능 개선 3(진행중): TCP 대신에 UDP 사용, 성능 개선 기반 프로토콜 TCP: HTTP/1.1, HTTP/2 UDP: HTTP/3 TCP는 안정적이지만 그것을 위해 UDP에 비해 느리다 UDP는 상대적으로 불안정하지만 빠르기때문에 애플리케이션레벨에서 이에대한 최적화를 하기위해 HT..
![[fake-trip] 프로젝트 End-Point 설계 다시하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dF9Ph%2FbtrQfDfPiSm%2FfadsVvzOmOav3jk9JqB4D1%2Fimg.png)
[fake-trip] 프로젝트 End-Point 설계 다시하기
현재 nest.js로 리펙토링중인 fake-trip의 Django 문서 README.md 파일을 수정중에 깨달은게 있었습니다... 엔드포인트가 정말 심각한것 같습니다... 그래서 미리 정리하는 글을 작성해보려 합니다. Django 프로젝트 ERD & End-Point 당시 url 설계방식 제가 해당 프로젝트를 진행하던 도중 엔드포인트 설계방식은 아래와 같았습니다. 리소스별로 앱을 나눈다 그후 리소스,path-params, query-params 등을 통해 분기한다. Django의 라우팅 시스템은 아래와 같습니다. project의 urls.py로 request가 들어온다. url에 따라 해당앱의 urls.py로 들어간다. 각 앱의 urls.py의 코드에 따라 views.py의 해당 클래스로 들어가 처리된다..
[HTTP method] 특이한 POST, PATCH, DELETE
HTTP method POST - 서버에 데이터를 생성하기위한 메서드로 201, Created를 반환하는 메서드 PATCH - 데이터의 일부를 수정하기 위한 메서드로 사용 DELETE - 데이터를 삭제하기위한 메서드로 204 statusCode를 반환 로그인은 왜 POST 메서드를 사용할까!? HTTP 메서드들은 body값의 사용가능여부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이 바뀝니다. POST, PATCH 와 같은 메서드들은 body값으로 데이터 통신을 한다. 하지만 GET 요청의경우 body값이 없기에 Query Param을 사용합니다. 파라미터는 결국 URI에 노출되기 때문에 유저정보(Password)를 담아 통신하는 과정에서 아래와 같이 일반 유저들에게까지 보이게됩니다. domain/users/signin?i..

백엔드 개발자가 만든다는 API란 무엇일까?!
이글을 보기전에 알아야 하는 사실! API는 단순 웹에서만 사용하는것이 아닙니다. Programming Interface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입니다. 프로그래밍을 하는곳이라면 어디서든 통용되는 말이며 우리가 말하는 흔히아는 API는 웹 API입니다. API의 정의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애플리케이션이라는 단어는 고유한 기능을 가진 모든 소프트웨어를 나타냅니다 인터페이스는 두 애플리케이션 간의 서비스 계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계약은 요청과 응답을 사용하여 두 애플리케이션이 서로 통신하는 방법을 정의합니다. API 문서에는 개발자가 이러한 요청과 응답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가 들어 있습니다. 웹 개발자의 관점에서 정리해봅시다.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요청과..

HTTP - 현대 웹의 소통방식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ow do we communicate 오늘납 웹이 서버와 소통하는 방식을 뜻함 HT : Hyper Text Hyper Text Markup Language 의 Hyper Text와 같은 단어이다. 문서와 문서가 링크로 연결되어 있음을 뜻함 T : Transfer 전송하다 라는 사전적 의미를 가지고있다. HTML로 만든 웹페이지 문서를 인터넷으로 보낸다 P : Protocol 협약, 통신 규약 이라는 사전적 의미를 가진다. 멀리 떨어진 컴퓨터 끼리 어떻게 HTML파일(HyperText)을 주고 받을지에 대한 약속입니다. 컴퓨터끼리 어떻게 파일을 주고받을지에 대한 소통 규약 약속 종합해보자면 멀리떨어진 컴퓨터끼리 HTML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