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개변수

    (34)데코레이터 사용하기

    (34)데코레이터 사용하기

    데코레이터(decorator) - 장식해주는 역할을 한다. @staticmethod,@classmethod 등 에사용하는 @를 의미함 함수를 장식하는 용도 함수를 변경하지않고 그 함수에 기능을 추가하고 싶거나 디버깅할때 사용된다. 데코레이터를 만들때 자주 사용하는 이름 trace : 추적자를 의미함 데코리에터 함수이름으로 자주사용한다. wrapper : 감싸는 무언가를 의미하는데 데코레이터 함수 내부에 작동하는 함수의 이름으로 사용 데코레이터 함수 만들기 예제 def hello(): print('hello 함수 시작') print('hello') print('hello 함수 끝') def world(): print('world 함수 시작') print('world') print('world 함수 끝') ..

    (24)위치 인수,가변 인수,키워드 인수

    위치인수(positional argument) - 위치가 정해져 있는 인수 가변인수(variable argument) - 개수가 정해져있지 않은 인수 키어드 인수(keyword argument) - 인수에 키워드(이름)를 붙인다 언패킹(unpacking) - 포장을 푼다는 의미로 리스트,튜플 같은 반복가능 객체의 포장을 푸는것 애스터리스크(*) - 리스트,튜플,딕셔너리 앞에 붙이면 언패킹이 된다. 위치인수 def print_numbers(a,b,c): print(a) print(b) print(c) #결과 print_numbers(10,20,30) 10 20 30 a,b,c 의 순서가 정해져 있다. 언패킹 사용하기 함수(*리스트) 함수(*튜플) x = [10,20,30] def aa(a,b,c): p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