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Cors] Cors(Cross Origin Resource Sharing) 이란?!

    [Cors] Cors(Cross Origin Resource Sharing) 이란?!

    Cors(Cross Origin Resource Sharing) CORS는 교차 출처 요청을 허용하는 것이 안전한지 아닌지를 판별하기 위해 브라우저와 서버가 상호 통신하는 하나의 방법 저는 사실 이전까지 Cors는 교차출처자원을 금지하는 정책으로 알고있었지만 그것이 아닌 교차출처자원공유가 금지된 배경에서 공유를 가능하게 해주는 하나의 규약입니다. 이 배경이라함은 SOP입니다. SOP(Same Origin Poricy) SOP은 한 출처 에서 로드한 문서 또는 스크립트가 다른 출처의 리소스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한하는 중요한 보안 메커니즘입니다. 정책에 따라 웹브라우저 는 첫 번째 웹페이지에 포함된 스크립트가 두 번째 웹페이지의 데이터에 액세스하도록 허용하지만 두 웹페이지의 출처 가 동일한 경..

    [HTTP] HTTP 기초

    [HTTP] HTTP 기초

    서버간 데이터를 주고받는 프로토콜의 한 종류 HTML, Text, Image, 음성, 영상, 파일, JSON, XML(API) 거의 모든 데이터가 전송 가능 HTTP의 역사 0.9(1991년): GET 메서드만 지원, HTTP 헤더X 1.0(1996년): 메서드, 헤더 추가 1.1(1997년): 가장 많이 사용 - RFC2068(1997) -> RFC(1999) -> RFC7230~7235(2014) 2(2015년): 성능 개선 3(진행중): TCP 대신에 UDP 사용, 성능 개선 기반 프로토콜 TCP: HTTP/1.1, HTTP/2 UDP: HTTP/3 TCP는 안정적이지만 그것을 위해 UDP에 비해 느리다 UDP는 상대적으로 불안정하지만 빠르기때문에 애플리케이션레벨에서 이에대한 최적화를 하기위해 HT..

    [네트워크]TCP/IP 계층별 데이터 단위

    [네트워크]TCP/IP 계층별 데이터 단위

    Socket - Stream 응용프로그램이 TCP/IP에 접근할 수 있도록 추상화한 File(Interface)을 Socket이라고 부르며 데이터 단위는 Stream입니다. 이 소켓은 16bit 이며 2의 16제곱이기때문에 0~65535포트가 생성되며 맨마지막과 맨처음인 0, 65535는 사용하지 못합니다 1~65535의 포트가 바인딩 됩니다. 갑자기 소켓?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통신을 할때는 프로세스는 소켓을 통해 I/O를 수행하게됩니다. 프로세스에서 어떤 단위의 데이터를 사용하든 소켓을 통과할때는 Stream이란 단위를 사용하게됩니다. Stream은 길이가 굉장히 길어 질 수 있습니다. TCP - Segment Stream은 캡슐화되며 TCP를 지날때 Segmentation이 일어나게 됩니다. 일정..

    [네트워크] TCP/IP 4계층 식별자, 데이터 단위

    [네트워크] TCP/IP 4계층 식별자, 데이터 단위

    식별자 어떤 대상을 유일하게 식별 및 구별할 수 있는 이름 프로그래밍을 할때는 변수를 많이 의미하긴 하지만 변수는 식별자와 == 관계가아닌 식별자 역할을 하는 하나의 종류입니다. 계층 이글에서는 TCP/IP 4계층으로 이야기합니다. 영문 명 한글 명 데이터 단위 사용 식별자 해당 프로토콜 종류 Application Layer 응용 계층 Data HTTP Transfer Layer 전송 계층 Segment Port번호 TCP, UDP Internet Layer 인터넷 계층 Packet Ip 번호 IP, ARP, RARP Network Inerface(Access) 네트워크 접근 계층 Frame Mac 주소 이더넷,패킷망 식별자 Mac주소 랜카드를 의미하는 NIC(Network Interface Card)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