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별자
어떤 대상을 유일하게 식별 및 구별할 수 있는 이름
프로그래밍을 할때는 변수를 많이 의미하긴 하지만 변수는 식별자와 == 관계가아닌 식별자 역할을 하는 하나의 종류입니다.
계층
이글에서는 TCP/IP 4계층으로 이야기합니다.
영문 명 | 한글 명 | 데이터 단위 | 사용 식별자 | 해당 프로토콜 종류 |
Application Layer | 응용 계층 | Data | HTTP | |
Transfer Layer | 전송 계층 | Segment | Port번호 | TCP, UDP |
Internet Layer | 인터넷 계층 | Packet | Ip 번호 | IP, ARP, RARP |
Network Inerface(Access) | 네트워크 접근 계층 | Frame | Mac 주소 | 이더넷,패킷망 |
식별자
Mac주소
랜카드를 의미하는 NIC(Network Interface Card)의 주소를 식별합니다.
이전까지는 컴퓨터의 주소를 식별하는줄 알았는데 NIC의 주소를 의미합니다.
이말의 뜻은
한컴퓨터는 Mac주소가 여러개 일 수 있다는말입니다.
노트북의 경우 유무선 Lan카드가 달려있죠 이경우 2개가 됩니다.
또한 NIC의 Mac주소는 바뀔 수 있습니다.
IP주소
IP주소는 HOST를 식별합니다.
호스트란?
네트워크(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의미합니다.
컴퓨터가 인터넷에 연결되어있지 않다면 호스트가 아니게 되는거죠
한호스트는 여러개의 IP주소와 맵핑이 될 수 있습니다.
정확히는 바인딩이라고 표현됩니다.
1:1관계 혹은 1:N관계가 될 수 있습니다.
Port번호
직군별로 이해하는 식별대상이 조금 상이하다고 합니다.
하드웨어를 다루는 분들은 Interface를 식별한다고 하고 네트워크를 다루시는 분들은 Service를 식별한다고 합니다.
개발자 입장에서는 Process식별자로 이해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그이유는 하나의 포트를 여러 프로세스에서 동시에 사용이불가능 하기 때문입니다.
https://www.youtube.com/channel/UCdGTtaI-ERLjzZNLuBj3X6A
널널한 개발자 TV
널널한 개발자의 온라인 강의실 입니다.
www.youtube.com
'기초CS > HTTP'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HTTP 기초 (0) | 2022.11.16 |
---|---|
[네트워크]TCP/IP 계층별 데이터 단위 (1) | 2022.10.03 |
[네트워크]URI, URL, URN 차이와 URL의 구조 (0) | 2022.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