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 웹개발자라면 알아야 하는 인터넷의 구조들이 있습니다.
현업에서 운영해야되는 필요성 순으로 보자면
- RESTful API
- HTTP 통신
- URL
- Web
RESTful API를 좀더 정확하게 지키며 사용하려면 HTTP의 구조와 Stateless 속성에 대해 이해하며 다시금 되새김질 해야 합니다.
HTTP구조를 이해하려면 URL의 프로토콜,도메인등의 이해가 있어야하며
URL의 구조를 이해하려면 Web과 Interet 에 대해 공부를 더 필요하다 생각 되어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Internet
인터넷이란?
- 서로 통신이 가능한 거대한 네트워크이다.
첫 등장 Modem / 1950
탄생 배경
미 국방부가 방공만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개발
Modulation(변조) + Demodulation(복조)
- modulation : 디지털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 Demodulation :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전화선을 이용한 통신
전화 선을 이용하기위해 아날로그 신호로 바꿔야했기에 위와같이
Modulation & Demodulation 의 구조를 가지게 되었다.
아르파넷(ARPAnet) / 1969
2차 세계대전 종료
아르파넷의 탄생배경이라고 한다면 2차 세계대전 종료후 Modem의 치명적인 구조적 결함과 단점들이 대두대면서 시작되었다.
또한, 우주 경쟁(인공위성 발사) + 핵 미사일 개발 경쟁이 나타나며 효율적인 인터넷 방식이 필요하게되었다.
Modem의 단점
- 중앙 집중적 연결방식
- 모뎀은 전화국을 통한 중앙 집중적 연결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 이는 전시상황에 전화국을 타격한다면 통신이 마비되어 자국의 치명적인 약점으로 대두되었다. - 비용 소요
- 장거리 전화시스템을 이용해 컴퓨터 통신망을 구성하는 데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 되었다.
- 기본적으로 전화시스템은 데이터의 전달이 용도가 아닌 음성의 전달을 위해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핵 공격에도 유지가 가능하며 미래 개발에 더 효율적인 인터넷 체계가 필요했다.
ARPAnet = ARPA + 분배네트워크 + 패킷 스위칭 + 라우터
- ARPA(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 '스푸니크 충격(Sputnik shock)'의 여파로 국방연구를 보다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1958년 미 국방부에 의해 설립된 기관
- 스푸니크 충격이란? 간단하게 소련이 미국보다 먼저 스푸니크 1호(인공위성)를 쏘아올리는데 성공하며 받은 미국의 충격이다. - Distribution Network (분배 네트워크)
- 하나의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와 적어도 두가지 이상의 경로를 통해 접속되는 네트워크 방식
- 데이터 전송시 하나의 경로가 파괴되더라도 여분의 경로를 통해 전달될 수 있음 - Packet Switching (패킷 스위칭)
- 한 메세지를 여러 개의 조각(패킷)으로 분할하는 것
- Why? 패킷으로 분할되어 전송되기 때문에 공격으로 데이터가 손상 되어도 손상된 부분만 따로 전송하면 된다는 이점이 있다. - Router (라우터)
- 패킷 데이터로 구성된 정보를 주고받을 때 다양한 경로를 검색하여 수신처 주소로 정확하게 전달시켜 주는 장치
아르파넷을 이용한 최초의 통신 / 1969
ARPA -> UCLA, SRI, UCSB, UTAH을 아르파넷의 연결지점으로 선정하였다.
설명을 통해 느껴지듯이 여기까지의 인터넷은 국가단위에서 그것도 국방분야에 집중되어 사용되었고 그에 맞춰 개발이 이뤄졌다.
TCP/IP & 인터넷(internet) / 1983
- 네트워크 기술에 대한 관심도 증가, 다양한 네트워크의 등장
- 1971 - 전자우편(e-mail) 개발
- 1972 - 워싱턴 제 1회 국제컴퓨터통신학술회의, 아르파넷의 시연
- ARPAnet 이외의 새로운 네트워크의 구축 (ex. Telnet, Usenet, Bitnet, etc) - 다양한 네트워크의 등장으로 서로 연결하기 위해 표준이 필요
- 프로토콜(Protocol): 통신시스템이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규약
- TCP/IP로 그 표준프로토콜이 선정 되었다. - TCP/IP
- TCP : Transmission Conrol Protocol
- IP : Internet Protocol
결과적으로 인터넷이란 TCP/IP를 통해 서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의미하게 되었습니다.
추가 공부할 Keyword
- TCP
- UCP
- IP
'잡동사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st.js] nest에서 git 없이 프로젝트 생성하기 (0) | 2022.10.19 |
---|---|
Postman(포스트맨)을 활용하여 카카오 소셜 로그인 구현하기 (0) | 2022.10.07 |
[HTTP method] 특이한 POST, PATCH, DELETE (0) | 2022.08.14 |
[AWS] 서비스들 (0) | 2022.07.10 |
HTTP - 현대 웹의 소통방식 (0) | 2022.06.03 |